성인, 아동 구별없이 ADHD 가족이 있으면
그렇지 않은 가족은 함께 살면서
많은 이해와 포기가 필요합니다.
특히, HSP(Highly Sensitive Person) 성향이나
MBTI의 J 성향을 가진 사람은
ADHD인 사람의
부족한 계획성, 집중력, 꾸준함이나
과도하게 높은 충동성, 산만함 등을 접할 때마다
이해하기 어렵고 쉽게 받아들여지지 않아
스트레스와 답답함을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
친구, 연인과 같이
잠시 같은 시간을 보내는 관계에서는
그렇게 크게 느껴지지 않고 부담도 되지 않지만,
결혼을 하거나 육아를 하며
일상을 함께 하는 경우에는
자주 느끼게 되고 그에 따른
육체적, 정식적 부담이 있습니다.
저 역시 가족들로부터
그런 것들을 겪고 느끼며 살다보니,
자연스럽게 ADHD에 대한 관심이 많아졌고,
ADHD에 대한 개념이 없을 때에는
본인의 의지, 관심의 문제라고 생각했는데,
전문가들과 여러 정보를 통해 알게 된 뒤에는
그런 문제가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들을 나아지게 하려고 애쓰기 보다는
상당부분은 그냥 받아들이는 것이 현실적이고,
일정부분은 도움을 주면서 살아가야
서로에게 정신적인 부담도 줄일 수 있고,
관계 악화도 막을 수 있습니다.
지금은 저도 ADHD에 대한 이해가 높아져서
수용과 포기 어디에선가 적당히 살고 있지만,
나아지기를 기대하며 발버둥치던 때와 비교하면
솔직히 그것이 어렵다는 것을 깨닫고
절망적인 마음이 드는 것도 사실입니다.
ADHD와 관련하여 인터넷 상에 이미 많은
정보와 자가진단 설문이 있으나,
대부분 내용이 부실하고
단순 심리테스트와 같이 가벼운 형태여서
좀 더 신뢰도 높은 도구가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에 사이트를 만들어봤습니다.
ADHD 자가진단
|
이 서비스의 특징은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총점방식과 함께
증상 중 고점 항목의 개수를 파악한 결과를
함께 도출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문항을 그대로 사용하지 않고
학술적 근거를 바탕으로 필요한 문항을 만들었으며,
ADHD에 관한 개념과 치료제 등을
필요한 만큼만 자세하고 어렵지 않게 다루고 있습니다.
'ADHD 자가진단' 서비스는
아래와 같이 4개 섹션으로 구분됩니다.
ADHD 자가진단
|
ADHD 주요증상, ADHD의 유형 (복합형, 부주의, 과잉행동-충동성), 아동 ADHD와 성인 ADHD, ADHD의 진단, ADHD의 치료 및 관리 (약물, 비약물), ADHD에 대한 오해와 관리
성인 ADHD 자가진단 질의 - A. 부주의, B. 과잉행동-충동성
진단결과 - 총점 기준, 핵심증상개수 기준
성인 ADHD 자가진단 질의 - A. 부주의, B. 과잉행동-충동성
진단결과 - 총점 기준, 핵심증상개수 기준
I. 중추신경 자극제 (메틸페니데이트)
II. 중추신경 비자극제 III. 보조 약물
ADHD 자가진단
|
ADHD 자가진단
|
내 타로 내가 뽑고 내가 보기, '타로 리딩 가이드' ft. 타로사전, AI 프롬프트 생성기, 스프레드 종류 (5) | 2025.06.03 |
---|---|
타로카드 의미 총정리 '타로카드 사전' ft. 상징, 정방향, 역방향, 조언 (0) | 2025.05.14 |
댓글 영역